Spring에서 Bean 등록하는 3가지 방법(@ComponentScan, @Bean, XML)
Component Scan vs Java Config vs XML 설정📌 IntroSpring Boot에서는 다양한 방식으로 Bean(빈)을 등록하여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관리할 수 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에서 자주 사용되는 3가지 Bean 등록 방식을 비교하고,각 방식의 장단점과 사용 용도를 정리해보고자 한다.잠깐! Bean이란?Bean이란, Spring 컨테이너가 생성하고 관리하는 객체를 의미한다.개발자가 만든 클래스가 Spring의 생명주기를 따라야 할 때, Bean으로 등록해야 한다.즉, Spring이 직접 관리하게 만들려면 Bean으로 등록해야 한다. Bean 등록 vs Bean 주입 (이건 헷갈리면 안 된다!)구분설명예시 애노테이션Bean 등록Spring 컨테이너에 객체를 등록하..
웹 서버(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ver)의 차이 (feat. Spring Boot의 내장 톰캣)
📌 Intro웹 서비스 아키텍처를 이해하려면 꼭 구분해야 할 개념이 있다.바로 웹 서버(Web Server)와 WAS(Web Application Server)다.이번 글에서는두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정리하고Spring Boot의 내장 Tomcat은 어디에 속하는지도 함께 살펴보려고 한다.📌 웹 서버 vs WAS 개념 먼저 정리하기구분웹 서버 (Web Server)WAS (Web Application Server)정의정적인 콘텐츠(HTML, CSS, 이미지 등)를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동적인 콘텐츠(애플리케이션 실행 결과)를 생성하고 제공역할클라이언트 요청 수신 → 정적 파일 찾아 응답요청 처리 → 비즈니스 로직 실행 → DB 연동 후 결과 반환주 사용 기술Apache, Nginx, IISTomcat, ..
Spring Framework 탄생 배경과 EJB의 한계, 왜 스프링이 등장했을까?
복잡한 EJB 시대를 넘어, 가볍고 유연한 대안을 찾다📌 Intro오늘날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Spring Framework.그 출발점은 단순한 기능 구현이 아니라,"복잡하고 무거운 Java EE, 특히 EJB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이번 글에서는 Spring Framework가 탄생하게 된 배경,그리고 이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1. 당시 표준이었던 EJB는 어떤 문제를 안고 있었을까?EJB(Enterprise JavaBeans)는 2000년대 초,Java EE 기반 기업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표준 서버 컴포넌트 모델이었다.하지만 현실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항목문제점🧱 복잡한 구조단순한 로직도 여러 개의 클래스를 만들어야 함 (Ho..